본문 바로가기

정전기 발생 원인과 방지 대책 산업 현장의 안전을 위한 핵심 가이드

건강똑똑이 발행일 : 2025-07-04
반응형

겨울철만 되면 작업장 곳곳에서 ‘따끔’한 경험,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겁니다. 이것이 바로 정전기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정전기는 산업 현장에서 화재나 폭발, 정밀장비 오류 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인이 됩니다. 특히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현장, 반도체나 전자부품 제조 라인처럼 정전기에 민감한 환경에서는 반드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전기의 발생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지 대책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전기의 왜 생기고, 어디서 문제가 되는가

정전기(Static Electricity)는 두 물체가 서로 마찰·접촉·분리되는 과정에서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며 발생하는 전기입니다.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플라스틱 상자를 만졌을 때, 나일론 작업복을 입고 철제문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끝에 느껴지는 전기 충격이 대표적인 예죠.

하지만 이런 단순 현상은 산업 현장에선 치명적입니다. 정전기가 쌓이면 인화성 가스나 가연성 분진에 불꽃을 일으켜 화재·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제조라인에선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며, 민감한 전자회로나 센서를 손상시키기도 합니다.

산업 현장에서의 정전기 사고 사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 따르면, 정전기로 인한 산업사고의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휘발유 취급소에서 탱크로리 내부 정전기로 유증기 폭발 발생
  • 페인트 작업장에서 정전기 불꽃이 가연성 도료와 반응해 화재 발생
  • 전자기기 조립공정에서 정전기가 센서 손상을 일으켜 수율 저하

이러한 사고는 대부분 정전기 관리 미흡, 적절한 방지 설비 미설치, 근로자 교육 부족 등 관리 부주의에서 비롯됩니다. 즉, 방지 가능했던 사고였던 셈이죠.

정전기 방지를 위한 핵심 대책

정전기 발생을 줄이기 위한 대책은 ‘발생 억제’와 ‘누적 방전’이라는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습도 유지
    건조한 환경일수록 정전기가 잘 발생합니다. 작업장의 상대 습도를 50~60%로 유지하면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2. 도전성 재질 활용
    도전성(전기를 잘 흐르게 하는) 매트, 의자, 장갑 등을 사용하면 정전기 축적을 줄이고 방전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게 됩니다.
  3. 정전기 방지복 착용
    폴리에스터 등의 절연성이 높은 작업복 대신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방전복을 착용하면 근로자 보호에 효과적입니다.
  4. 정전기 제거장치 설치
    이오나이저(Ionizer), 방전 브러시(Discharge brush) 등은 장비에 축적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장치입니다.
  5. 접지(Grounding) 시스템 구축
    장비 및 설비에 접지를 연결하면 누적된 정전기를 안전하게 방전시킬 수 있어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조치입니다.

설비·환경 개선으로 정전기 발생 차단

정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관리체계 안에 넣어야만 실질적인 예방이 가능합니다. 설비와 환경을 구조적으로 설계할 때부터 정전기 예방 요소를 반영해야 합니다.

  • 바닥재 선택: 도전성 바닥재 시공 또는 도전성 왁스를 주기적으로 도포해 전하 축적을 방지합니다.
  • 장비 유지관리: 생산설비의 배관, 호스, 롤러류 등은 절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마찰 소지를 줄이는 설계로 보완합니다.
  • 개인 보호구 관리: 작업자가 착용하는 신발, 장갑, 의복은 모두 방전 기능을 확인하고, 세탁 및 교체 주기를 엄수합니다.

작업장 정전기 관리 체크리스트

작업장의 정전기를 관리하기 위해 다음 항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 상대 습도 50% 이상 유지 여부 확인
  • 접지선 연결 상태 점검 (연 1회 이상 절연저항 측정)
  • 도전성 매트 손상 여부 확인
  • 이오나이저 정상 작동 여부 점검
  • 방전복, 안전화 등의 정전기 방지 기능 유지 상태 확인
  • 정전기 관련 안전 교육 연 1회 이상 실시 여부
  • 정전기 발생 장비별 점검 기록 유지

결론

정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큰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무형의 위험입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는 단순한 불쾌함을 넘어서 장비 손상, 제품 불량, 화재 및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전기의 원인을 명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방지 대책과 설비 관리를 병행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정전기 예방은 단기적인 대응이 아니라, 환경 설계와 장비, 교육이 통합된 장기적 안전관리입니다. 정전기 관리를 철저히 하는 사업장이 결국 사고를 줄이고, 제품 품질과 작업 효율을 함께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