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액체 저장탱크 접지 방법, 정전기를 막는 가장 기본적인 조치

건강똑똑이 발행일 : 2025-07-05
반응형

정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위험은 눈앞에 있습니다. 특히 액체 저장탱크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는 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실제로 석유화학 플랜트나 도장작업장, 유기용제 보관소 등에서는 정전기 스파크 하나로 대형 사고로 번지는 일이 드물지 않게 발생해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접지는 단순한 안전 조치가 아니라, 반드시 지켜야 할 법적 기준이며 생명을 지키는 최소한의 절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액체 저장탱크 접지 방법을 기준부터 설치 요령까지 실제 작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액체 저장탱크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이유

액체를 저장하거나 이송할 때는 마찰이나 흐름에 의해 정전기가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액체 표면과 탱크 내부 금속 벽이 접촉하거나, 유속이 빠를수록 전하가 축적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집니다.

정전기가 위험한 이유는, 축적된 전하가 순간 방전되면서 불꽃(Spark) 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때 저장탱크 내에 휘발성 가스나 인화성 증기가 존재하면, 순식간에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정제유, 유기용제, 알코올류 등은 접지 불량 시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접지는 선택이 아니라, 법적 의무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안전관리법, KOSHA Code 등에서는 액체 저장탱크 및 관련 이송 설비에 대해 반드시 접지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KOSHA GUIDE C-15-1998: 정전기 방지 기준 가이드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탱크저장설비의 접지 요건 명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0조: 정전기 제거 조치 필수

이러한 기준에 따르면, 가연성 액체를 저장·취급하는 모든 금속 탱크는 반드시 접지해야 하며, 접지 저항은 10Ω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실무에서 바로 쓰는 접지 설치 기준

설치 위치와 방식

  • 접지선 연결 지점은 탱크 하단 금속부, 플랜지 혹은 입·출구 배관 근처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 독립 접지봉을 지면에 최소 2m 이상 박고, 굵기 14mm 이상 동선으로 연결합니다.
  • 공용 접지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접지 저항 측정 후 허용값 이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접지 저항 기준

  • 정전기 방지를 위한 표준값은 10Ω 이하이며, 가능하면 5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디지털 접지저항계를 활용해 설치 직후와 정기적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배선 조건

  • 사용 전선은 주로 피복이 없는 연동선 또는 연강선을 사용하며,
  • 이음부는 반드시 용접 또는 볼트 체결로 접촉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설치 후 유지관리, 이게 더 중요합니다

장비만 설치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정기적인 점검과 문서화 없이는 접지 효과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 정기 점검 주기: 최소 1년에 1회 이상, 정기보수 기간과 병행
  • 저항 측정 기록: 점검 시기, 저항값, 이상 여부를 문서화
  • 단선 여부 확인: 접지선 훼손, 이음부 부식 여부 육안 점검

실제로 현장 사고 중 상당수는 접지가 설치돼 있었음에도 점검 미흡으로 정전기가 방전된 사례입니다. 따라서 ‘설치’보다 ‘관리’가 더욱 핵심입니다.

산업별 맞춤형 대응도 필요합니다

석유화학 및 위험물 저장소

  • 방폭구조의 접지 단자 사용 필수
  • 정전기 제거기(이온화 장비) 병행 설치 권장

실험실 및 제약시설

  • 이송 튜브, 실험기구까지 모두 접지망 연결
  • 유기용제 이송 시, 금속 통로 및 유속 제어 필요

액체 이송 차량 연결 설비

  • 주유구, 밸브 등 금속부 접지 클립 부착
  • 이송 전 반드시 지면과 전기적 연결 확인

결론

접지란 눈에 보이지 않는 안전 장치입니다. 액체 저장탱크처럼 위험요소가 밀집된 환경에서는, 작은 정전기 하나가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 설치는 가장 먼저, 가장 정확하게 시행되어야 하는 필수 조치입니다.

실무자가 기억해야 할 핵심 체크리스트

  • 접지 저항 10Ω 이하 유지
  • 독립 접지봉 또는 구조체 연결 확인
  • 접지선 굵기와 체결 상태 점검
  • 연 1회 이상 정기 측정 및 기록 보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