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하나로 폭발? 가연성 액체 취급 시 꼭 지켜야 할 예방 수칙
가연성 액체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는 정전기 하나가 전부를 뒤흔드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페인트, 세척제, 유기용제처럼 인화성이 높은 액체들은 아주 작은 불꽃에도 반응하며, 특히 정전기가 방아쇠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연성 액체 취급 시 정전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실무 팁을 중심으로, 사고 사례부터 법적 기준, 실천 가능한 관리 요령까지 정리했습니다.
정전기, 왜 위험한가?
정전기는 우리가 보통 ‘찌릿’하고 느끼는 일상의 현상이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전혀 다른 수준의 위협으로 작용합니다. 가연성 액체를 이송하거나 혼합할 때, 용기 간 마찰이나 인간의 이동만으로도 쉽게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그 축적된 전하가 방전되면 순간적으로 불꽃이 튀게 되고, 이 불꽃이 휘발성 기체와 만나면 폭발로 이어집니다.
정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확실한 위험입니다.
실제 사고 사례로 본 정전기의 위협
2023년, 국내 한 화학 공장에서는 세척용 유기용제를 탱크에서 다른 드럼통으로 이송하던 중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 작업자는 접지선을 설치하지 않았고, 이송 호스 내부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방전되면서 인화성 기체에 불이 붙었습니다.
이 사고로 2명이 화상을 입고, 공장 가동이 한 달 넘게 중단됐습니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미국 텍사스의 도장 공정 현장에서는 작업복에 쌓인 정전기가 페인트 용제의 증기층에 방전되어 폭발로 이어졌습니다.
사고를 막는 정전기 예방 대책
사고는 대부분 기본 수칙을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예방의 핵심은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거나, 축적되지 않도록 방출하는 것’입니다.
- 접지(Grounding): 이송용 탱크, 드럼통, 펌프, 이송 호스 등 모든 도전성 장비는 독립 접지를 확보해야 합니다. 저항값은 10⁶Ω 이하가 유지되어야 하며, 정기 점검이 필요합니다.
- 작업복 관리: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 섬유는 정전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작업복을 착용해야 합니다.
- 습도 유지: 정전기는 건조할수록 쉽게 발생합니다. 실내 습도는 최소 40% 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해야 하며, 필요 시 가습기와 공기 순환 장치를 병행 사용합니다.
- 속도 제한: 액체 이송 속도는 정전기 축적과 직결됩니다. 일반적으로 1m/s 이하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정전기 제거 장비: 이온화 장비나 정전기 제거 브러시는 인화성 액체를 다루는 작업대 위에 설치해 중화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정전기 사고 방지를 위한 법적 기준
대한민국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장소에서는 정전기 제거 장치를 설치하거나 접지를 통해 정전기를 제거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 및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도 정전기 방지를 위한 구조, 설비 기준이 명확히 규정돼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행정처분 및 형사 처벌까지도 가능합니다.
- 산업안전보건기준 제204조: 인화성 액체 취급 장소의 접지 의무
- KOSHA GUIDE H-45-2017: 액체 저장탱크 및 이송 호스 접지 기준
정전기 예방을 위한 현장 체크리스트
구분 | 점검 항목 | 확인 주기 |
장비 | 금속 탱크, 호스의 접지선 연결 상태 | 매일 |
환경 | 실내 습도 40% 이상 유지 여부 | 주간 |
개인보호구 | 정전기 방지 작업복 착용 여부 | 매일 |
설비 | 이온화 장비 작동 여부 및 거리 조정 | 주간 |
기록 | 정전기 예방 점검표 기록 보존 여부 | 월간 |
이런 체크리스트는 현장 책임자가 매일 아침 점검표로 활용하면, 안전 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
정전기는 늘 존재하지만, 늘 사고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문제는 ‘지금은 괜찮겠지’라는 생각이 쌓일 때입니다.
기억하세요.
가연성 액체를 취급하는 작업에서는,
- 반드시 접지하고,
- 정전기 방지 작업복을 입고,
- 장비와 환경을 함께 점검해야 합니다.
작은 예방이 가장 큰 안전입니다.
요약정리
- 정전기는 가연성 액체와 만나면 폭발을 유발할 수 있음
- 접지, 습도 관리, 작업복 선택 등 기본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함
- 법적 기준 위반 시 행정처분 대상이 될 수 있음
- 사고 예방은 매일의 점검과 습관에서 시작됨
'환경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비 접지저항 기준과 측정법 총정리 (안전관리 실무자 필독) (0) | 2025.07.05 |
---|---|
액체 저장탱크 접지 방법, 정전기를 막는 가장 기본적인 조치 (0) | 2025.07.05 |
화학약품 이송 중 정전기 사고, 이렇게 막는다! (실무자 필독 가이드) (1) | 2025.07.05 |
정전기 예방 작업복 선택 기준, 안전은 옷에서 시작된다 (1) | 2025.07.05 |
분진 발생 작업장의 환기설비, 무엇을 어떻게 설치할까? (0) | 2025.07.04 |
댓글